공부를 아무리 해도 이해가 잘 안 되고, 처음 보는 문제는 더욱 낯설고 어렵게 느껴진다면
그건 당신이 무언가를 제대로 배우지 못해서가 아니라,
지금 우리의 뇌가 ‘조절’이라는 일을 하고 있는 중일 수 있습니다.
이 글에서는 인간의 사고와 기억을 설명하는 심리학 이론을 바탕으로,
왜 공부가 어려운지, 그리고 어떤 경험을 통해 공부가 쉬워지는지를
조금 더 깊고 쉽게 살펴보려 합니다.
처음에는 이해가 안 되는 것이 당연합니다
아이들이 숫자를 배우기 시작할 때
대부분은 ‘더하기를 하면 커진다’고 생각합니다.
그래서 “3 + 5 = 8”은 잘 받아들이지만
“-3 + (-5) = -8” 같은 식을 처음 접하면 혼란스러워합니다.
이럴 때 아이들은
기존에 알고 있던 틀로 새 개념을 맞춰보려 시도합니다.
이것을 ‘동화(assimilation)’라고 합니다.
하지만 기존의 생각만으로는 설명이 안 될 때가 옵니다.
‘음수’라는 개념을 새롭게 배우고 ‘더한다는 것’의 의미를 다르게 생각해야
비로소 이해가 가능해집니다.
이렇게 기존 틀 자체를 바꾸는 과정을
심리학자 장 피아제는 ‘조절(accommodation)’이라고 설명했습니다.
피아제는 사람들이 새로운 개념을 배울 때
항상 동화와 조절 사이에서 균형을 맞추며 지식을 쌓아간다고 보았습니다.
이 과정을 그는 ‘평형화’라고 불렀습니다.
작업기억이 감당하지 못할 때, 조절이 필요해집니다
정보처리이론을 제안한 심리학자 아킨슨과 쉬프린에 따르면,
우리의 뇌는 감각기억, 작업기억, 장기기억이라는
세 단계를 거쳐 정보를 처리합니다.
책을 읽거나 문제를 보면,
그 정보는 잠깐 감각기억에 저장되고
곧바로 머릿속 작업기억에서 생각과 판단을 거칩니다.
하지만 작업기억은 아주 짧고,
한 번에 처리할 수 있는 정보량도 매우 제한되어 있습니다.
특히 처음 배우는 개념은 기존의 틀이 없기 때문에
작업기억이 감당하기 어려운 일이 많습니다.
이때 사람은 기존 생각을 바꾸거나 새롭게 구조화해야
정보를 이해하고 장기기억으로 전이시킬 수 있습니다.
바로 이 과정이 조절입니다.
조절은 낯설고, 익숙하지 않기 때문입니다
예를 들어, 어떤 아이가 “수직선은 오른쪽이 크고 왼쪽이 작다”고 배웠다고 해봅시다.
이 개념을 통해 정수의 덧셈과 뺄셈을 잘 이해합니다.
그런데 처음으로 “절댓값”이라는 개념을 배우게 되면
자연스럽게 혼란이 생깁니다.
절댓값은 수의 크기만을 말하기 때문에 “-5”의 절댓값은 “5”가 되죠.
기존에 ‘음수는 무조건 작다’고 생각했던 틀과 충돌합니다.
이럴 때 아이는 ‘음수와 크기’라는 개념을 다시 구성해야 합니다.
이것이 바로 조절입니다.
그리고 조절은 단지 한 번으로 끝나지 않습니다.
여러 번 반복해서
“내가 아는 개념이 틀릴 수도 있다”는 경험을 하다 보면
나중에는 처음 보는 개념도 두려워하지 않게 됩니다.
조절 자체에 익숙해지는 것입니다.
피아제는 조절이 인간 사고의 기본 구조라고 설명했지만,
그 조절이 반복될수록 사람은 개념을 더 유연하게 받아들이게 됩니다.
이를 뒷받침하는 심리학적 개념이
‘인지적 유연성(cognitive flexibility)’입니다.
조절의 경험이 누적되면, 새로운 문제나 개념을 만났을 때
기존 구조에 얽매이지 않고 구조 자체를 바꾸는 데 익숙해지게 됩니다.
이런 사고는 수학을 배울 때 특히 중요합니다.
예를 들어, 처음에는 일차함수만 배운 학생이
‘그래프는 직선’이라고만 생각했다면,
이차함수에서 포물선을 만나면 또다시 충돌합니다.
이때 그래프의 개념, 변화율의 개념 등을 새롭게 조절해야 하죠.
그리고 이 조절을 겪은 학생은 삼차함수, 로그함수, 무리함수 등을 배울 때
그래프를 보다 구조적으로 바라보게 됩니다.
그때마다 조절이 반복된 것이
결국 사고의 힘으로 쌓이는 것입니다.
지금 뇌가 새로운 구조를 만드는 중일 수 있습니다
어떤 개념이 도저히 이해가 안 될 때,
그건 당신의 뇌가 느리게 작동하는 게 아니라
기존의 사고 구조를 바꾸기 위해
매우 중요한 작업을 하고 있는 중일 수 있습니다.
조절은 어렵습니다.
하지만 그 조절이 반복되면
이후의 학습은 훨씬 더 유연하고 가볍게 느껴질 수 있습니다.
공부가 잘 안 되는 시기는
생각이 깊어지고 있는 증거일 수 있습니다.
그 과정을 두려워하지 마세요.
조절하는 힘은 훈련될 수 있습니다.
실행할수록, 더 잘할 수 있게 된다 | 목표 달성을 위한 단계적 전략 (32) | 2025.08.21 |
---|---|
시험장에서 평소 실력을 꺼내는 방법 : 비가시적 동일조건 만들기 (106) | 2025.08.09 |
공부란 무엇인가? 낯선 수학 그리고 동화와 조절에 대하여 (47) | 2025.07.26 |
9월 모의고사, 감정이 아닌 전략으로 (39) | 2025.07.23 |
공부가 잘 안 되는 이유? feat. 전경과 후경의 원리 (18) | 2025.07.2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