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소리를 글자로 만든 단 한사람 – 세종대왕의 수학적 발상

독해진수학/교육학, 수학교육학 관련 생각들

by 독해진수학 2025. 7. 15. 18:05

본문

728x90

❝ 사랑을 고백할 수 없던 시대 ❞

우리는 지금,
사랑하는 사람에게 메시지를 남기고,
아이에게 하고 싶은 말을
손쉽게 전할 수 있는 시대에 살고 있습니다.
하지만 과거에는 ‘말’이 곧바로 ‘글’이 되지 못했습니다.
조선 초기, 문자 체계는 철저히 한자 중심이었고,
일반 백성은 문자 생활에서 철저히 배제되어 있었습니다.
사랑을 고백해도 다음 날이면 잊혀지고,
아이에게 전하고 싶은 말이 있어도
종이에 남길 수 없던 시대였죠.
말은 있었지만, 기록할 수 없었습니다.
기록할 수 없다는 건,
곧 사라진다는 뜻이기도 합니다.


❝ 말과 글이 따로 노는 사회 ❞

조선 시대의 공식 문자 체계는 오직 한자(漢字)였습니다.
문서를 작성하고, 학문을 연구하고,
법률을 기록하는 모든 영역에서
한자는 지배적인 약속된 형식이었죠.
그러나 문제는, 이 문자가 조선인의 말소리와
완전히 맞지 않았다는 데 있었습니다.
예를 들어,
한자는 음소(소리의 최소 단위)를 표현하는 체계가
아니라 표의문자(뜻 중심의 문자)입니다.
반면, 한국어는
높은 음운적 다양성과
어순 유연성을 가진 언어이기 때문에
이를 완전히 반영하려면
소리 중심의 문자 체계가 필요했습니다.
그러나 양반 계층은 이를 불편으로 보지 않았습니다.
문자란 원래 어렵고,
배우기 힘든 것이라 여겼기 때문입니다.
하지만 세종대왕님
이 문제를 완전히 다르게 바라봅니다.


❝ 불편함에서 시작된 ‘형식화의 발상’ ❞

세종대왕님은 백성들이 말은 할 줄 알지만,
그 말을 기록하지 못한다는 현실
‘단순한 문맹률의 문제’가 아닌
사회 구조와 인간 존엄의 문제로 바라보았습니다.
그래서 기존의 문자 체계를 보완하는 수준이 아닌,
완전히 새로운 문자 체계를 창제하기로 결심합니다.
그는 단순히 새로운 글자를 만든 것이 아닙니다.
‘소리’를 ‘형식화’한 기호 체계를 만든 것입니다.


❝ 조음기관을 기준으로 설계된 한글 ❞

세종대왕님은 훈민정음을 만들 때
조음기관(혀, 입술, 목구멍 등)의 움직임을
세밀히 관찰했습니다.
그 결과, 자음은 아래와 같이 설계되었습니다:

  • : 혀뿌리가 목구멍을 막는 소리
  • : 입술을 다물어 내는 소리
  • : 목구멍의 모양
  • : ㅇ에 획을 더해 거센 기식을 표현

모음 또한 단순한 점과 선으로 구성되어 있지만,
이는 천(ㆍ), 지(ㅡ), 인(ㅣ)이라는
철학적 삼재 사상에 기반을 둡니다.
이는 단순한 창의가 아니라,
체계적이고 논리적인 기호 설계,
즉 수학적 사고의 틀과 매우 유사합니다.


❝ 수학 기호와 한글의 공통점? ❞

수학에서는 복잡한 개념을 하나의 기호로 축약합니다.
예를 들어,
√는 ‘제곱해서 어떤 수가 되는 수’를
나타내는 형식화된 기호입니다.
한글 역시, ‘소리’라는 복잡하고 추상적인 요소를
형식화된 기호로 변환함으로써
시각적 소통이 가능하게 되었죠.
형식화(formalization)는
단지 정보를 정리하기 위한 방법이 아니라,
생각을 구조화하고,
사회적 약속을 만들고,
새로운 창조를 가능하게 하는 도구입니다.


❝ 형식은 어떻게 약속이 되었는가 ❞

한글은 창제 직후부터 모두가 사용한 것은 아닙니다.
양반 계층의 거센 반발이 있었고,
'언문(諺文)'이라 불리며 천대받기도 했습니다.
그러나 세종대왕님은 노래 형식의 ‘용비어천가’
일상과 문화 속에 자연스럽게 녹아드는 방식으로
이 문자를 확산시키려 노력했습니다.
결국, 백성들은 점차 이 새로운 형식을 받아들였고,
오늘날 세계에서 가장 과학적이고 독창적인 문자
평가받는 한글이 되었습니다.


❝ 우리는 어떤 형식을 만들고 있을까? ❞

세종대왕님은 불편함을 외면하지 않았습니다.
기존의 형식에 순응하지 않고,
새로운 형식을 만들어낸 사람이었습니다.
그가 만든 것은 단지 글자가 아니었습니다.
그것은 사람과 사람 사이를 잇는 ‘생각의 구조’였습니다.


 유튜브에서 이 이야기의
시각적 흐름을 보고 싶다면?

영상으로 보기:  왜 소리를 기호로 만들었을까? | 세종대왕의 수학적 발상 | 신조어, 수학기호 그리고 한글의 탄생
https://youtu.be/ZHuZfQ_Fz9c

 
# ‘독해진수학’ 유튜브 채널에서는
이처럼 일상과 수학, 역사와 사고를 연결하는 영상을 계속 소개하고 있습니다.
 

반응형

관련글 더보기